10. 국민연금 납부액은 소득에 따라 달라지나요? (2025 기준)

반응형
국민연금 납부액은 소득에 따라 달라지나요? (2025 기준)

국민연금 납부액은 소득에 따라 달라지나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보는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법

1. 결론부터 말하면,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월 소득의 9%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즉, 소득이 많을수록 납부액도 많아지고, 소득이 적으면 보험료도 줄어듭니다.

단, 개인의 가입 유형(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등)에 따라 기준이 다르며, 신고 방식과 실제 소득에 따라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직장가입자 – 급여 기준으로 자동 산정

회사에 소속된 직장가입자의 경우, 매월 받는 월급(보수월액)이 기준이 됩니다. 보험료는 소득의 9%이며, 사업주와 본인이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예시:

  • 월급 250만 원 → 보험료 22만 5천 원 (회사 11.25만 + 본인 11.25만)
  • 월급 400만 원 → 보험료 36만 원 (회사 18만 + 본인 18만)

3. 지역가입자 – 신고 소득 또는 추정 소득 기준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지역가입자로 분류되며, 국민연금공단에 직접 신고한 연 소득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책정됩니다.

만약 정확한 소득 신고가 없는 경우에는 재산세, 자동차, 생활 수준 등을 바탕으로 추정 소득이 산정되고, 그에 따라 보험료가 결정됩니다.

예시:

  • 월 평균 소득 200만 원 신고 → 보험료 약 18만 원
  • 소득 신고 없음 + 차량 보유 → 월 소득 150만 원 추정 → 보험료 약 13.5만 원

👉 지역가입자 소득 신고 방법 자세히 보기

4. 임의가입자 – 선택 기준에 따라 납부

소득이 없지만 국민연금에 자발적으로 가입하고 싶은 사람임의가입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국민연금공단에서 정한 최소 소득 기준(2025년 기준 약 35만 원)을 바탕으로 최소 보험료 약 31,500원부터 납부가 가능합니다.

더 높은 소득 기준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본인의 연금 수령 전략에 따라 납입 금액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5. 월 소득별 예상 납부액 (2025년 기준)

월 소득 총 보험료 (9%) 직장가입자 본인 부담 지역가입자 부담
100만 원 90,000원 45,000원 90,000원
200만 원 180,000원 90,000원 180,000원
300만 원 270,000원 135,000원 270,000원
400만 원 360,000원 180,000원 360,000원

👉 정확한 금액은 국민연금 계산기 이용

6. 보험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소득에 따라 납부액이 정해지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부담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소득 수준 조정 신고 (지역가입자 한정)
  • 소득이 없는 경우 임의가입 → 최소 보험료 납부
  • 납부예외 신청 – 실직, 휴직 등 불가피한 상황일 때 신청 가능

👉 납부 예외 제도 자세히 보기

📌 요약: 소득에 따라 달라지는 국민연금 납부액

  • 납부액은 월 소득의 9%를 기준으로 계산
  •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절반씩 부담, 지역가입자는 전액 본인 부담
  • 정확한 소득 신고가 중요하며, 최소 납부액 제도도 존재
  • 납부 부담이 클 경우, 예외 신청이나 추후납부 활용 가능

👉 다음 글: 국민연금 추후납부 전략으로 수령액 늘리는 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