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공식 + 실전 예시 (2025년 기준)

반응형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공식 + 실전 예시 (2025년 기준)

내가 받을 국민연금, 어떻게 계산될까요?

1. 국민연금 수령액, 무엇으로 결정될까?

국민연금의 수령액은 개인의 가입 기간, 보험료 납부액, 전체 평균소득 등을 기준으로 공식에 따라 산정됩니다.

  • ① 가입 기간: 오래 가입할수록 유리
  • ② 본인의 평균소득: 납부한 기준소득월액
  • ③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 (A값): 소득 재분배를 위한 국가 평균소득

2. 국민연금 수령액 공식 (2025년 기준)

노령연금 기본 수령액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연금액 = A값 × 0.5 + 본인평균소득 × 가입연수 × 0.015

용어 정리:

  • A값: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월액 (2025년 기준 약 2,890,000원)
  • 본인 평균소득: 가입자가 납부한 기준소득월액 평균
  • 가입연수: 총 납부 연수 (연도 단위로 계산)

이 공식은 소득재분배 요소(A값)자기 납입 금액 두 가지를 합산하여 더 공평한 연금 구조를 만들기 위한 설계입니다.

3. 실전 예시: 직장인 기준 수령액 계산

예시 ① 월 평균 소득 200만 원, 가입 기간 20년

  • A값 × 0.5 = 2,890,000 × 0.5 = 1,445,000원
  • 본인소득 × 가입연수 × 0.015 = 2,000,000 × 20 × 0.015 = 600,000원
  • 예상 월 연금 수령액 = 144,500 + 60,000 = 약 204,500원

예시 ② 월 평균 소득 350만 원, 가입 기간 30년

  • A값 × 0.5 = 1,445,000원
  • 3,500,000 × 30 × 0.015 = 1,575,000원
  • 예상 월 연금 수령액 = 약 302,000원

예시 ③ 월 평균 소득 150만 원, 가입 기간 10년 (최소 수급)

  • A값 × 0.5 = 1,445,000원
  • 1,500,000 × 10 × 0.015 = 225,000원
  • 예상 월 연금 수령액 = 약 169,500원

👉 [예상 연금액 계산기 바로가기]

4. 수령액 늘리는 방법 3가지

  • ① 가입기간 늘리기: 20년 이상 가입 시 수령액 급증
  • ② 추후납부 활용: 과거 미납 기간 복원 가능 (최대 10년)
  • ③ 연기수령 제도 활용: 최대 5년 연기 → 수령액 최대 36% 증가

수령액은 단순히 낸 돈만이 아니라 전략적인 가입 관리로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유의사항

  • 공식은 2025년 기준이며, 매년 A값(전체 평균소득)은 변동됩니다.
  • 개인의 소득 신고 방식(지역가입자 등)에 따라 차이 발생 가능
  • 수령액은 물가상승률에 따라 조정되므로 실질가치가 유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