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예상되는 지출 항목과 이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반응형

은퇴 후 예상되는 지출 항목 및 절감 방법

은퇴 후에는 소득이 줄어들기 때문에 예상되는 지출을 미리 분석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은퇴자들의 일반적인 지출 항목이 무엇이 있는지 대략 정리해 보고,이를 줄이거나 다른 대안이 있는지를 볼까요.

 


1. 은퇴 후 예상되는 주요 지출 항목

카테고리 세부 항목 월 예상 비용 (예시) 비율 (%)
주거비 월세, 관리비, 공과금 50~100만 원 25~30%
식비 식료품, 외식 40~70만 원 20~25%
의료비 건강검진, 약값, 병원비 30~80만 원 15~20%
교통비 대중교통, 차량 유지비 10~30만 원 5~10%
여가·취미 여행, 취미활동, 문화생활 20~50만 원 10~15%
용돈·경조사비 자녀 지원, 경조사비 10~30만 원 5~10%
기타 의류, 잡비, 보험료 10~30만 원 5~10%
총 예상 월지출 평균 150~350만 원 100%  

 

차이는 있겠지만 대략 위와 같겠네요.


 

2. 각 항목별 절감 및 대체 방법

    위의 카테고리에 있는 각 항목별로 절약할 수 있는 방법과 대체할 수 있는 전략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① 주거비 절감 방법

 

        ✔ 다운사이징 고려

            -  만약 지금 살고 있는 집이 너무 넓다면 지금보다 작은 집으로 이사를 해서 관리비, 공과금 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은퇴 후에 자녀들이 독립했거나 독립을 할 예정이라면 굳이 큰 주택을 고집할 이유도 없을 것 같아요.

        ✔ 전세·자가 vs. 월세 비교

            -  만약 전세 유지 상태가 가능하다면 월세 부담 없이 거주가 가능하겠는데 요즘에는 워낙 전세 사기 등이 많아 믿을

                수가 없어서 고민이 됩니다.

            -  또는 기존 주택을 임대(월세)로 전환하고 본인은 더 저렴한 전세/월세로 이동하여 현금을 확보할 수도

               있겠습니다.

            -  요즘에 드는 생각은 굳이 서울만 고집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병원, 마트 같은 인프라가 서울보다는 부족하겠

               지만 수도권 등으로의 이사도 고려해 볼만 할 것 같습니다.

            -  만약 자가인데 대출금이 많다면 소형 주택으로 갈아타거나, 월세 부담이 적은 곳으로 이사하는 것도 고려를 해

               볼만 하겠네요.

        ✔ 주택연금 활용

            -  만약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주택연금(역모기지론)**을 활용해 일정 금액을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집을 팔지 않고도 생활비를 보충할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한데 주택 가격에 비해 주택 연금이 적절하게 나오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 같네요.


    ② 식비 절감 방법

 

        ✔ 외식 줄이고 집 밥 늘리기

            -  외식비 절감을 위해 반찬 만들기, 대량 장보기 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  만약 1인 가구라면 밀키트를 구매하거나 , 반찬 가게에서 반찬을 구입 하는 것직접 해 먹거나 외식하는 것에

                비해서 절약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전통시장 & 공동구매 활용

            -  대형마트 보다는 전통시장, 로컬푸드 직거래 장터 등을 이용하면 식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지인들과 공동구매로 필요한 물품을 대량 구매 후 나눠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것도 마음이 잘 맞는 사람들

               이 하나 둘 모여 시작 하는 것이 좋겠네요.

        ✔ 그 외 방법

            -  식비 예산을 정하고 월별로 체크하기(: 월 30만원 이하 유지 목표)

               위에서도 이야기 했는데 만약 서울이 아닌 수도권 등으로 이사를 한다면 텃밭 등을 가꾸면서 일부 채소나 과일을

                   재배해서 먹을 수도 있겠네요.(물론 서울도 가능합니다.^^)


    ③ 의료비 절감 방법

 

        ✔ 건강보험·실손보험 점검

            -  필요 없는 보험은 정리하고, 실비보험, 암보험, 장기요양보험 등을 최적화

               이 부분은 요즘에 살펴보고 있는 중이네요.

        ✔ 예방 중심 건강관리

            -  정기 검진을 받고 건강을 유지하면 장기적인 의료비 절약 가능.

                2년에 한 번씩 하는 국가 건강 검진은 반드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운동 습관(걷기, 요가, 근력 운동) 및 식습관을 개선해서 병원 방문을 줄이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겠어요.


    ④ 교통비 절감 방법

 

        ✔ 대중교통 활용

            -  만약 65세 이상이면 지하철 무료 혜택 활용이 가능하고요.

            -  택시 대신 버스·KTX 할인(경로우대 할인) 활용.

        ✔ 자차 유지 vs. 대중교통 비교

            -  차량 유지비(보험료, 주유비, 정비비)가 많이 들 경우 차량을 정리하는 것이 좋을 텐데 불편함이 많아 고민이 될

               듯합니다.


    ⑤ 여가·취미비 절감 방법

 

        ✔ 비용이 적게 드는 취미 찾기

            -  독서, 등산, 봉사활동 등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활동으로 전환.

            -  온라인 무료 강의(유튜브 등) 활용해 취미 개발.

                나이가 들어서도 할 수 있는 것 들을 은퇴하기 전에 반드시 찾아놔야 겠어요.

        ✔ 문화생활 할인 혜택 활용

            -  복지관 무료 강좌 등 지역사회 문화 혜택 활용.

            -  도서관, 공공 체육시설을 이용하면 저렴하게 활동 가능.

            -  여행은 비수기를 이용.


    ⑥ 용돈·경조사비 절감 방법

 

        ✔ 자녀 용돈 줄이기

            -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했다면 은퇴 후에도 지속적인 용돈 지원은 부담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주지 않을 수도

               없는데 고민이네요.

        ✔ 경조사비 절약

            -  경조사 비용이 과하게 나간다면, 최대 한도를 정해서 지출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  꼭 참석해야 하는 행사만 선택적으로 참여.


 몇 가지를 살펴 봤는데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드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