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가 5년 이상 남아있는 경우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은 무엇이 있을까?

반응형

은퇴가 5년 이상 남아 있다면, 경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많이 늦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지금보다는 조금이라도 자산을 늘리고, 부채를 줄이며, 지속적인 소득원을 만들 준비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은퇴 후 예상 생활비 계산

먼저,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를 구체적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 현재 지출 분석

  • 월별 고정비(주거비, 공과금, 보험료 등)와 변동비(식비, 교통비, 여가비 등)를 정리하세요.
  • 저 역시도 거의 매달 적자이지만 흑자로 전환되는 것을 위해서 노력해야 겠네요.

    ✔ 은퇴 후 예상 비용

  • 의료비, 여행비, 취미활동 비용 등을 고려해 은퇴 후 월별 예상 지출을 산정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의료 실손 보험도 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알아보니 지금은 4세대라고 하네요.
  • 물가 상승률( 2~3%)을 반영하여 필요한 자금을 계산하세요.

    ✔ 필요 자금과 현재 자산 비교

  • 예상되는 연금 수령액과 현재 자산을 고려해 부족한 금액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최근에 국민 연금을 조회해 보니 물가 상승률이 반영되어서 그런지 몇 년 전 보다는 조금 오른 것 같아요.

2. 연금 및 투자 전략 최적화

  ①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점검

  • 대부분 국민연금만 가지고 있을텐데 개인연금이 있는 분들은 관리를 정말 잘 하신것 같네요..
 

  ②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

    ✔ 은퇴 시점에 맞춘 투자 전략 세우기

  • 아직 5년 이상의 시간이 있으므로, 너무 보수적인 투자보다 성장 가능성이 있는 투자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저는 요즘 금, 은에 관심을 두게 되었네요.. 주식처럼 변동성이 크지 않고 장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 주식 & ETF

  • 배당주나 인덱스펀드(ETF)를 활용해 꾸준한 수익을 얻는 방식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이 부분은 잘 몰라서 공부를 해봐야 할 것 같아요.

    ✔ 부동산 투자

  • 주거용 부동산을 유지할지, 상가/오피스텔/리츠(REITs) 투자 등을 고려할지 점검.
  • 개인적으로는 5년의 여유가 있는 시점에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은 좀 위험하다고 생각을 하는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 채권 및 안전자산 확대

  • 은퇴 시점이 다가올수록 안정적인 자산(채권, MMF, 적금 등)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 이 부분도 차근차근 공부해야 겠어요.

인터넷에 찾아보니 "자산 100 - 나이 = 주식 비중" 공식으로 본인의 투자 성향을 조정해 보라고 하네요..

(: 45세라면 투자 가능 금액 100% 중  주식 비중 55%, 채권 및 안전자산 45%)


3. 부채 조정 및 절세 전략

  ① 부채 줄이기

    ✔ 주택담보대출 상환 계획

  • 은퇴 후에도 큰 대출이 남아 있다면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미리 상환 전략을 세우세요.
  • 은퇴 후에도 소득이 있다면 주택담보대출을 상환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을 것 같은데 이 경우에는 지금보다  평수가 작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는 것도 방법일 수 있겠네요.

  ✔ 신용대출, 카드 대출 관리

  • 이자가 높은 부채부터 우선적으로 갚고, 추가적인 대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동차 할부금, 학자금 대출 정리

  • 가능하면 은퇴 전까지 큰 부채를 모두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채는 은퇴 전 최대한 줄인다!"라는 원칙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② 절세 전략 활용

    ✔ 연금저축 & IRP 활용

  •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연말정산 시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저축은 사회 초년생일때 가입해서 유지하고 있는데 개인형 퇴직연금(IRP)는 알아봐야 겠네요.

    ✔ 부동산 세금 관리

  •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임대사업 등록 등을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 증여 & 상속 계획

  • 자녀에게 미리 증여할 계획이 있다면, **증여세 공제 한도(10년 기준, 성인 자녀 5천만 원, 미성년 자녀 2천만 원)**를 활용하면 절세할 수 있습니다.
  • 금 현물의 경우에는 자녀에게 증여를 해도 세금 문제가 거의 없다라고 어디선가 본 것 같은데 관심있는 분들은 알아보시면 좋겠네요.

4. 은퇴 후에도 지속 가능한 소득 만들기

  ① 파트타임 or 창업 준비

    ✔ 경력을 살린 컨설팅, 강의

  • 본인의 경력을 살려 은퇴 후에도 컨설팅, 강의, 멘토링 등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그 때를 위해서 차근차근 알아봐야겠네요.

    ✔ 온라인 비즈니스 & 투자

  • 블로그, 유튜브, 온라인 쇼핑몰, 전자책 출판 등을 통해 부수입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 유튜브를 해 본적이 있는데 이 분야도 치열해서 쉽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 소규모 창업 준비

  • 은퇴 후 소규모 창업(카페, 공방, 게스트하우스 등)을 고려한다면 미리 경험을 쌓아두세요.
  • 옛날에는 어르신들이 "한 우물을 파라" 라고 하셨었는데 요즘에는 다양한 경험을 많이 해 두는 것도 훌륭한 자산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5. 생활비 절약 습관 들이기

가계부 작성 습관

  • 지출 패턴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세요.
  • 2025년 들어 가계부를 작성하기 시작했는데 새어나가는 돈이 꽤 있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항목들을 자세히 보고 개선해 나가는 것을 올해의 목표로 두었습니다. 

현금 흐름 관리

  • 지출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생활을 유지하는 방법을 고민하세요.
  • 다른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저의 경우 3개월에 한번씩 1년짜리 적금을 개설합니다. 금액은 2 ~ 5만원 정도로요. 그러면 1년 후부터는 3개월에 한번씩 적금 만기가 되는데 금액은 적어도 주기적으로 목돈이 생기는 것 같아 만족감이 있습니다. 

자동이체 활용

  • 공과금, 보험료, 적금 등을 자동이체로 설정해 관리를 좋게 하는것도 방법이겠네요.

"소비 습관 = 은퇴 후 삶의 질"**이므로 미리 절약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